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은 OSI 7계층 중에서도 하위 두번째에 속하는 계층이다.
잡음이 있는 인접 노드 간의 물리적인 회선을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(망 계층)이 신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송 에러가 없는 통신 채널로 변환시키는 일을 한다.
요약하자면, 네트워크 내에서 안정적이고 오류 없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.
- 흐름 제어
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차를 보장하기 위해 흐름 제어 기능을 한다. - 프레임 동기화
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. - 오류 제어
오류의 검출과 회복을 위한 것으로, 바로 전 계층인 물리 전송 매체의 특정상 오류와 잡음이 랜덤하게 발생할 확률이 높아 전송 오류를 감지하고, 이를 수정한다.
또한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패킷을 재전송하여 송신측에서 타이머와 ACK 신호에 의해 전송 에러를 알 수 있다. - 순서 제어
패킷이나 ACK 신호를 잘못 혼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패킷과 ACK 신호에는 일련번호가 부여된다. 이 일련번호를 기준으로 순서가 결정된다. - 데이터 링크 연결 관리
두 노드 간에 데이터 링크의 설정, 유지, 단락 및 데이터 전송 등을 제어한다.
IEEE 802 표준에서는 LAN 상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을 2개의 하위 계층으로 나눈다.
- 논리 링크 제어(LLC, Logical Link Control)
논리적인 부분으로,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, 데이터 링크 계틍의 오류 복구 기능을 담당한다. - 매체 접근 제어(MAC, Media Access Control)
물리적인 부분으로, 네트워크 장치가 매체에 접근하는 방법을 정의하며 충돌을 방지하고, 데이터 전송을 관리한다.
CSMA/CD, 토큰 버스 및 토큰 링 등 여러가지 변형을 모두 허용한다.
관련 장비는 다음과 같다.
- 랜카드
- 브리지(Bridge)
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(세그먼트)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.
- MAC 계층에서 사용된다.
- 네트워크 상의 많은 단말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.
- 네트워크를 분산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.
- 브리지를 이용한 서브넷(Subnet) 구성 시 전송 가능한 회선 수는 브리지가 n개일 때, n(n - 1) / 2 개이다. - 스위치(Switch)
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이다.
-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처리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.
- 포트마다 각기 다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, 수십에서 수백 개의 포트를 제공한다.
'부트캠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/09/24 - OSI 7계층: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 (0) | 2024.09.24 |
---|---|
24/09/09 - OSI 7계층: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 (0) | 2024.09.09 |
24/09/02 - OSI 7계층: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 (0) | 2024.09.02 |
24/08/28 - OSI 7계층 (0) | 2024.08.28 |
24/08/26 - 서버와 클라이언트 (0) | 2024.08.26 |